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Issue 115, Apr 2016

생떼띠엔(Saint-Etienne)에 나타난 이강소의 ‘오리떼’

France

Lee kang-so
2016.2.13-2016.10.16 프랑스, 생떼띠엔 현대미술관

‘2015-2016년 한·불 교류의 해’를 맞아 프랑스 전역에 좀처럼 쉽게 보이지 않던 귀한 한국 작가들의 전시가 풍년을 이루고 있다. 그동안 일본과 중국에 비해 유럽에서 비교적 볼 기회가 적었던 한국 작가들의 이름이 걸린 전시 자료들을 마주하면 왠지 모르게 가슴이 찡하고 설렌다. 유럽에서는 드물게 한국 작가들에게 꾸준한 관심을 보이며 이우환, 박서보, 정상화, 이배 등의 전시를 개최한 바 있는 생떼띠엔 현대미술관(Musée d'art Moderne et Contemporain Saint-Etienne Métropole)이 이강소, 최병소 화백의 전시회를 동시에 준비해 그들의 한국 현대미술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다시 한 번 과시하며 유럽에 불고 있는 한국문화 열기에 동참하였다. 미술관 측은 한국의 추상미술을 통해 유럽의 추상화와 차별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보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며, 이번 전시에 대한 남다른 애착과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파리에서 TGV 고속열차로 두 시간 사십 분 거리인 프랑스 남동부에 있는 생떼띠엔은, 프랑스의 많은 아름다운 도시들이 그렇듯, 그들 나름대로의 역사와 전통을 내세우며 당당한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다. 생떼띠엔은 프랑스 제 2의 도시, 리옹(Lyon) 옆에 위치한 작은 도시이다. 그러나 미슐랭(Michelin) 최고점의 프랑스 식당이 자리하고 있어 식도락가들이 몰리는 곳이며, 디자인 비엔날레가 열려 아름다움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프랑스 최고의 프로 축구팀으로도 알려졌는데, 그만큼 자신들의 지역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겠다. 작고 아름다운 색의 자연 경치와 어우러진 지방의 소박하고 고혹적인 미술관을 상상하며 도착한 생떼띠엔 현대미술관은 예상을 완전히 뒤엎은 검은 큐브의 현대적 건축물로 웅장하고 규모 있는 모습이 장엄하기까지 하다. 그곳 메인 전시실에 이강소 화백의 전시가 진행 중이다.
● 이민영 프랑스통신원

생떼띠엔 현대미술관 전시전경

Share this

Save this

Written by

이민영 프랑스통신원

Tags

1975파리비엔날레(Biennale de Paris)’에서 젊은 한국 작가의 패기를 보여준 있는 이강소 화백이 그로부터 40 년이 지난 프랑스에서 갖는 개인전이라 이번 전시는 작가에게도 의미가 더욱 크다한국의 대표 아방가르스트 이강소는 사군자처럼 꼿꼿하고 타협하지 않는 강한 선비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그가 표현하고자 하는 세계는 미술 시장이 아닌 진정한 예술 자체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미술계는 한국의 단색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서양의 돌고 도는 예술 경향의 낡은 테두리에서 벗어나기 위한 돌파구로서 3세계의 정신을 말한다는 미술을 열심히 찾아 헤맨 결과이자, 새로운 투자가치를 창출하려는 목마름에 의한 것이다. 여기에 이강소는 굴복하지 않는다. 비록 생떼띠엔 현대미술관 관장 로랑 헤기(Lorand Hegyi) 이강소의 단색화 풍의 정신적인 추상미술이 유럽 추상미술과는 비교되는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 굳게 믿고 전시를 기획하였다 말하고 있음에도 말이다. 자신은 단색화 화가가 아니라고 말하는 이강소는 단호하다. 전시실에 가득 그의 그림들이 모노크롬, 단색의 모습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에게 단색화란 집중과 반복의 행동에 의해 영원불멸한 곳으로 가기 위한, 마치 승려가 해탈하듯 도를 트기 위한 작업 방식인데, 스스로 도인일 없는 예술가 이강소는 그의 작업에 매우 솔직하고 겸손한 것이다.






생떼띠엔 현대미술관 전시전경





자신을 최대한 내려놓고 지움으로써 만들어지는 그의 회화는 모든 것이 결국은 소멸하는 세계의 본질과 질서를 거스르지 않는다. 세상의 기초 입자인 원자에 대해 고민하고 기본을 중시한다. 스스로 신이 아니라 자연의 힘을 믿고 내맡기는 그의 담대함은 이미 1975 닭다리에 끈을 묶고 바닥에 석고 가루를 뿌려놓은 사흘 동안 닭의 움직임이 만들어 흔적의 리듬을 그대로 전시한파리비엔날레에서 이미 입증된 있다그의 관심은 본질적이고, 원초적인 것들이다. 회화란 무엇인가? 세상의 근본에 대하여, 나와 너의 존재, 실존에 대한 질문들을 꾸준히 던지며 실험하고 탐색하고 도전해 왔다. 결과는 표현 매체의 한정 없이, 사진, 퍼포먼스, 조각, 설치, 회화 모든 것이 가능한 자유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강소의 다양한 작품 세계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시대정신이 고스란히 반영되고, 관객의 참여가 포괄적으로 녹아든 프로세스 아트(Process Art)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결과가 아닌 과정과 진행이 중요시된다는 것이다. 이미 고등학교 시절청운회라는 그룹을 만들어 작품 활동을 하고 관객과 소통하기를 좋아한 그는 천성적으로 당차고 열린 아티스트인 듯하다. 하나의 작품세계에 안주하지 않고 다양한 시도와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였던 그의 작품 이야기들은 한국 현대미술의 살아있는 역사이자 기록이다. 






< Emptiness-09143> 2009 

캔버스에 아크릴릭 162×130.3cm  





우주의 본질에 관심을 가져왔던 이강소는 1980 후반부터 오리, 사슴과 같은 동물의 움직임에 관심을 갖고, 동물이 등장하는 자연풍경을 화면에 담기 시작하였다. 오리화가라는 닉네임이 그를 따라다니는 이유이다. 또한, 그의 풍경 안에는 나룻배 척이 떠다니고 있다. 어디로 흘러갈지 모르고 유유히 떠다니는 인생의 모습과 같다. 생떼띠엔 현대미술관 전시실을 가득 채우고 있는 작품들 역시, 그의 대표작이라 있는 1991년부터 2011년도까지의무제(Non titre)’, ‘(Emptiness)’  회화 연작 19점이다 화폭 그의 작업은 캔버스의 평면을 넘어서는 그가 투영하고자 하는 세계의 잔영들이 힘차고 자유로운 붓질로 재현되어 있다


때로는 단순하고 간결한 사군자의 기품이 느껴지기도 한다. 풍경의 모습들은 찰나의 직접적이고 뚜렷한 형상이 아닌 시간의 흐름과 그의 움직임에 의해 중첩되고 뭉개져 오히려 공간 안에 흡수되어 지워져 버린 모습이다. 작품의 프로세스 , 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우주 본질의 모습을 솔직하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관람객들에게 숨은 형상 찾기와 그가 제시하는 몇몇 제한된 소재 안에서의 자기 투영이라는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는 듯하다. 그가 보여주는 풍경은 형상이 전부가 아닌 형상이 만들어 지기 위한 우주의 질서 체계, 나와 우리, 사물과 자연의 관계성에 의해 생성된 연상에 대한 이미지 기호들이다. 자연과 개체들의 관계에 의해 본질은 존재하고 변화한다. 따라서 고정된 절대 형상이란 그의 작업 속에선 존재하지 않는다.  






<Emptiness-09092> 2009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259cm(200F) Courtesy the artist






형상은 없고 기운찬 개의 획만이 캔버스의 공간을 울리며 역동하고 있다. 지워져 버린 것들의 에너지 흐름을 보여주는(Emptiness)’ 연작 앞에서 기운 생동하는 숨어버린 형상들의 거센 움직임이 느껴진다. 그의 작업세계에서 중요시 되었던 사물과 객체, 자연의 상호관계가 여백 안에서 서로 얽히어 힘찬 필체로 강하게 꿈틀대고 있다. 이는 한국 미술의 정신성을 알지 못하고 회화의 물성에 익숙해 있는 유럽 관람객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줄 것이 확실하다. 캔버스에 정밀히 묘사되어있는 사과가 진정한 사과를 표현할 없었던 것임을 깨달았던 빛의 화가들, 인상주의의자들의 후예이니 형상을 최대한 지움으로써 드러나는 가장 본질적인 것들의 되살아남을 이해할 있을까 하고 질문해 보게 된다.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지닌 일률적이지 않은 각자의 , 개별 에너지, 그것들의 소통 에너지의 흐름을 그들에게 어떻게 설명해 있을까이번 전시에서, 평면 회화로만 전시 작품이 한정되고, 이강소의 작업 역사를 초기부터 총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한 점이 못내 아쉽다. 그러나 작가의 꾸준한 실험 정신과 도전의 결과로 쌓여진 그동안의 깊은 내공을 엿볼 있는 전시였음에는 분명하다.   




글쓴이 이민영은 파리에서 미술사와 젠더학을 공부하였다. , 벨기에 브뤼셀에 정착하여 현재 Art'Loft/ Lee Bauwens 갤러리를 운영 중이다.


온라인 구독 신청 후 전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Subscribe 로그인 Log in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