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Issue 97, Oct 2014

빛과 시간의 상호침투, 전광영

U.S.A.

Interpenetration of Light and Time
KWANG YOUNG CHUN
2014.9.4-11.1 뉴욕, 헤스테드 크래우틀러 갤러리

삭막했던 회색 화면에 빛이 들었다. 이제 반박을 가할 수 없게 된 진리 하나, 빛은 곧 색이다. 색에 홀린 시선으로 찬찬이 화면을 훑다보면 고서의 뜻 모를 한자들이 보인다. 그 한자들이 꺾이고 숨는 작은 단위의 조각들이 보인다. 그리고 그 꼼꼼한 손놀림을 하는 사람에까지 생각은 가 닿는다. 한지로 포장된 유닛들이 이루는 평면이나 조각을 만드는 고유의 시각언어는 유지한 채, 색을 입고 한층 화사해져서 새로 관객 앞에 나선 얼굴은 픽셀로 이뤄진 디지털 화면처럼 곧 부서질 듯 하면서도 촘촘하다. 급격한 '파임'은 없어지고, 잔잔한 '파동'이 색과 어우러지며 시각화됐다. 현대미술이란 막막한 바다에서 풍랑을 향해 돌진하던 노작가는 이제 조금쯤은 여유롭게 파도타기를 즐길 준비가 된 것일까? 첼시의 헤스테드 크래우틀러(Hasted Kraeutle)갤러리에서 열린 전광영의 개인전에서 그의 신작들을 눈으로 만질 수 있었다.
● 이나연 미국통신원

전광영 설치전경

Share this

Save this

Written by

이나연 미국통신원

Tags

제작날짜를 가늠할 수 있는 긴 분량의 제목을 가진 신작들은 크게 꿈, 욕망, 별로 구분되는 연작들이다. 작가가 오랜 기간 사용해온 집합이라는 뜻을 갖는 'Aggregation'이 대분류가 되고, 그 뒤를 이어 제작연도-제작월-제작번호가 중분류가 된다. 마지막으로 괄호에 꿈, 욕망, 별로 구분 짓고 일련번호를 다는 것이 소분류인 셈이다. <Aggregation 14-JU031 (Dream9)>, <Aggregation 14-JU026 (Desire8)>, <Aggregation 14-JU029 (Star3)>라는 식이다. 제목에서 발견되듯, 이 세 시리즈는 모두 2014년 제작으로, 과거의 작품들과 분명한 차이점을 드러낸 만큼, 그들을 새롭게 정의내릴 수 있도록 괄호 속에 이름들을 갖게 됐다. 그 중에서도 한눈에 가장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 <욕망> 연작을 보자. <욕망 8>에는 자잘한 조각들로 이뤄진 하얗거나 파스텔톤인 바탕에 선명한 빨강, 진노랑, 분홍과 오렌지가 좀 더 큰 조각 단위로 입체적으로 튀어나온다. 직접적으로 꽃밭이나 꽃다발을 연상케 하는 화려한 화면이다. 화려함과 욕망은 동어반복이다. 화려한 인생, 화려한 외모, 화려한 차, 화려한 집, 모두 자본주의의 욕망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이 아니던가. 




<Aggregation14-MA022(Desire7)> 2014 

Mixed media on Korean mulberry paper 164×229cm




‘꿈’연작은 이에 비하면 다소 차분하다. <꿈 14>는 파란색과 흰색이 서로 섞이며 일렁이는 파동을 바탕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점들이 찍혀있는 화면이다. 김환기의 점묘로 이뤄진 화면과도, 한국 단색화 화가들이 구사하던 반복적인 패턴과도 닮았다. 그러나 이 화면의 점 하나하나가 붓질이 아닌 하나의 작품과도 같은 포장된 조각이라는 점을 상기하면 또 한 번 놀라게 된다. 붓질 하나하나에도 '수행'의 의미를 부여할 만큼 고되고 반복적인 예술적 노동이 깃들어 있을 진데, 그 붓질 하나의 공력에 몇 십 배에 달하는 손이 지나가야 탄생하는 하나의 조각이라니. ‘별’ 연작은 캔버스의 변형으로 설명된다. 항성의 표면을 연상시키는 울퉁불퉁한 화면에, 분화구의 텍스처까지 넣던 작가가, 신작에선 아예 하나의 별 완성체를 만들기에 이른다. <별 3>은 코발트블루의 선명한 색을 주조로 하는 둥근 화면이다. 움푹 팬 웅덩이 없이도, 이 자잘하고 무수한 굴곡들이 새겨진 화면은 멀리서 본 별의 재현이라는 생각에 가 닿는데 부족함이 없다. 별에게도 일생이 있다고 하던가? 하나의 삶을 살아내는 동안 색과 질량을 달리하는 별들은 질량이 커지면 크기도 커지고 색의 온도 역시 올라가면서 파란색을 띠게 된다고 한다. 그런 생각을 품고 다시 <별 3>을 보면, 과연 한지가 가진 따뜻한 질감과 동그란 형상이 내재한 완만함, 균일하지 않은 리듬감을 가지며 어울리는 작은 조각들의 만남 등에서 꽤 높은 온도인 게 분명한 심상을 끌어내는 게 가능해진다.  




<Aggregation14-JU038 (Dream13)> 2014 

Mixed media on Korean mulberry paper 201×201cm




기다림은 시간을 초대하는 것이라 했던가. 기다리는 시간은 천천히 가게 마련이고, 천천히 흐르는 시간은 수많은 생각을 가능케 한다. 인고의 시간과 작품에 대한 숙고는, 자연스럽게 작품의 성숙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기다림은 지금의 전광영을 만들었다. 작가는 지난한 기다림을 시각화하는 장인이다. 한지를 일일이 손으로 꼬아 끈을 만들고, 스티로폼을 한지로 싸서 앞서 꼰 끈으로 고정시킨다. 조형적인 질서를 찾기 위해 그 끈을 풀었다 묶기를 수십 번. 포장과정과 배치, 끈으로 엮는 과정을 일일이 셈하자면 몇 만 번에 달하는 손길이 한 작품을 위해 스친다고 한다. 결승점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 채, 모두들 정신 차릴 새 없이 앞으로만 빨리 나가려 할 때, 한참을 한 장소에 멈춰 서서 빚어낸 2차원과 3차원의 기다림들. 이 시간의 침잠이자 수공품의 정점에 있는 조형물은 범접 못할 오라를 뿜어내며, 이제는 관객에게 시간을 멈추길 나지막하지만 강하게 명령한다. 수많은 작품들이 화려한 치장을 하고 제 목소릴 내며 컬렉터들에게 아첨하는 대규모의 아트페어에서도 전광영의 작품이 묵직하게 시선을 끌며 관객들의 발길을 한참이나 멈추게 하는 이유다. 조용하지만 압도적인 카리스마다. 


세상의 모든 사물들은 다른 것들과의 새로운 배치와 만남으로 지속적으로 교차되며 새롭게 생성된다.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카오스모제(chaosmose)’라는 단어는 혼돈(chaos)과 질서(cosmos)의 상호침투(omose)를 합성한 단어다. 혼돈 속에서도 상호 관계를 주고받으며 하나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묘사한다. 전광영이 택한 한지라는 동양적 재료는 여러 사람의 노동력을 거쳐 포장되어 뭉치고, 하나의 집합체로서 질서를 이룬다. 작가는 하나하나 포장된 조각의 부분들을 의도대로 배치하여 화면이 들어가고 나오는 듯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작은 부분을 이루는 조각들이 주고받는 상호관계는 입체감과 중량감을 극도로 끌어낸다. 하나의 부속은 작지만 모이니 웅장하고, 종이와 스티로폼은 가볍지만 집합의 존재감은 육중하다. 작은 글자들이 쓰인 따뜻한 느낌의 한지가 모여 있어 단아하고 정적인가 했더니, 훅하고 들어간 웅덩이에 화사한 색감이 덧입혀져 리듬을 가진다. 넘실넘실 글자들이 언뜻 보이는 추상화 같기도 하고, 분화구나 웅덩이를 정교하게 묘사하는 구상화도 닮았다. 조각 같지만 다채로운 화면을 가진 평면이고, 평면이지만 깊이를 가진 조각이다. 이 기묘한 이합집산의 이율배반이 전광영의 작품이 가진 힘이 된다. 




<Aggregation13-JL039> 2013 Mixed 

media on Korean mulberry paper 229×199cm




전광영이 과거 큰할아버지의 한약방에서 보던 약봉지에서 얻은 기본 아이디어, 유학생활과 미국에서의 가난한 작가생활 동안 깨달은 “우리 것을 찾아야만 한다.”는 갈망,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데 거침이 없던 모험심은 그가 20여 년 간 해온 캔버스 작업을 버리고 지금과 같은 유례없는 형식의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했다. 결국 아주 당연하게도, 작품엔 무수한 우연과 필연이 뒤엉킨 작가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게 됐다. 첫 개인전에선 대중과 미술계의 외면을 받았지만, 그의 나이 지천명이 넘은 1995년부터 한국보다 해외에서 먼저 작품들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1998년엔 시카고 아트페어에서 매진신화를 쓰고, 이듬해엔 뉴욕 첼시 킴포스터(Kim Foster)갤러리에서 모든 작품이 팔렸다. 그 이후로도 10여 년이 넘는 시간동안 작가의 활동 반경은 끝을 모르고 뻗어갔다. 아트페어와 화랑에서의 성공이 그의 작품의 검증수단이 됐고, 이후 전 세계 미술관에서 그를 모시고자 줄을 서게 됐다. 


도쿄의 모리미술관, 베이징의 금일미술관, 비엔나의 레오폴드(Leopold)미술관에서의 전시는 물론, 독일의 쿤스트베르트(Kunstwerk)미술관에선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와의 2인전(2012)을 성황리에 마치기도 했다. 녹스빌(Knoxville)미술관과 서울대학교미술관에서의 개인전도 최근 행보에 포함된다. 베를린 국립미술관의 <유럽의 정체성>전에도 아시아 작가로서는 유일하게 초청됐다. 올해 고희를 맞은 작가는 내년인 2015년 가을에 페이퍼돔(Paperdome)이라 이름붙인 미술관을 오픈한다고 한다. 뉴욕에서 소개한 신작들에서 발견되는 급격한 변화들처럼, 삶에서도 부침 없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로서의 '욕망'이 '꿈'을 이르게 도왔고, 결국 작가 자신이 하나의 '별'이 된 듯하다. 한국 미술계는 이제 질량이 큰 별을 가진 축복을 그가 설립할 미술관을 통해서 누릴 수 있게 되려나 보다. 기대해 볼 만 하다.  




<Aggregation08 -JL019RED> 2008 Mixed 

media on Korean mulberry paper 132×195cm




글쓴이 이나연은 사실 회화과를 졸업했다. 대학원을 수료할 수 있는 기간 정도, 미술전문지에서 기자로 일했다. 이 후 뉴욕으로 유학을 와 미술 비평 전공으로 석사 학위 까지 땄다. 이런저런 일을 많이 하고도 누구에게도 큰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술을 사랑한다. 주로 최대의 노력을 쏟아 붓고 최소의 결과를 얻는 분야에 관심이 많다. 자본주의 최전선에서 마르크스를 읽는 쾌감이 좋아서 뉴욕 체류 중이다. 누가 뭐래도 즐겁게 살고 싶다.

온라인 구독 신청 후 전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Subscribe 로그인 Log in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