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Artists
현재 위치
  1. Artists
현재 위치
  1. Artists
현재 위치
  1. Artists
Issue 77, Feb 2013

박진아
Park Jin A

‘회화’라는 불편함

박진아를 말할 때 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회화'다. 왜 아직 회화인가? 이 고리타분한 질문은 회화작가, 즉 화가라면 모두가 가지고 있을 터. 터놓고 이야기하기에는 논쟁적 지점이 아직도 많기에, 이른바 괄호( )를 치고 넘어가는 것이 상례일 법도 하다. 사실, 회화는 사진이 발명됨으로써, 최초의 사형선고를 받은 바 있으며, 그 뒤 그린버그가 그 유명한 모더니즘론으로 되살렸던 추상표현주의 회화는 (한 때)그의 추종자였던 미니멀리스트들에 의해 다시 한 번 폐기됐다. 그 뒤 7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한 신표현주의 경향에 힘입어 다시 복귀했지만, 이내, 옥토버 그룹에 의해 개념적으로 힐난당한 바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화'는 끊임없이 복귀한다. 물론 과거의 제 영광을 포기한 채, 끊임없는 자기 수정을 거치면서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진아의 작업은 특별하다. 그녀가 그간 보여준 실험들은 회화사적 유산을 참조하면서 대안적 형식을 모색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 안대웅 기자 ● 사진 서지연

'로모그라피 시리즈-정원' 캔버스에 유채 109×145cm 2005

Share this

Save this

Written by

안대웅 기자

Tags

박진아는 초기 <로모그라피> 시리즈로 한국 미술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일명 4분할 회화는 로모의 액션샘플러(4개의 연속사진을 만들어주는 사진기)로 촬영된 무심히 지나칠 법한 일상적 풍경을 가벼운 표현주의적 필치로 그린 것이다. 이 시리즈는 형식적인 면에서 특기할만 한데, 신표현주의 성향의 그림 4개가 한 화면에 동시에 붙어, 묘한 평면감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묘함의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보건 데, 물론 로모그라피라는 사진적 특성을 그대로 재현한 탓이기도 하지만, 60년대 하드엣지 미술가들이 천착했던 회화의 매체적 한계성의 표현이, 네 개의 구상적 이미지의 경계를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사진을 통한 하드엣지의 구현이라, 이것은 대체 무슨 공모일까?



<스크리닝을 기다리며 02> 
캔버스에 유채 170×200/170×200cm 
성곡미술관 전시전경 2010  



한 가지 더 재미있는 사실은 로모그라피라는 사진적 특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시간차’가 회화에서는 원칙적으로 통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표현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박진아의 4등분 회화는 기본적으로 액션샘플러로 찍힌 하나의 사진을 모방한 회화이며, 비단 각각의 장면을 이어 붙여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하나의 회화다. 여기서 하나의 회화는 매체적 특성상, 사진과는 달리 시간을 분절시킬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런 모양새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실제적 시간의 지표를 회화에 이식한 시도는 아이러닉하게도 그 불가능성을 강하게 드러낸다. 이런 아이러니는 ‘순간적 진리를 화면에 영속적으로 붙잡아 놓으려는’ 회화의 오랜 문제를 나름의 방법론을 통해 다시 제기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녀가 당시 주로 그렸던 ‘여가'라는 주제는 이 가설에 대한 힌트를 준다. 현대인들이 가장 바랄 법한 ‘여가'는 한 화면에서 짧은 시간차를 두고 반복되며 덧없이 흘러가는 것처럼 보인다. 바니타스적 허무함이 존재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죽음은 무엇을 암시하는 것일까? 혹시 회화 자체는 아닐까?



<사다리 02> 
캔버스에 유채 230×170cm 2010  



박진아는 2007년 이후로 약간의 변화를 꾀한다. <월광욕> 시리즈를 보면, 액션샘플러의 힘을 빌었던 연속사진에서 벗어나, 한 장의 사진을 선호하게된다. (필자의 가설대로라면) 하드엣지와 사진이 한 화면에서 충돌하던 형식을 포기하고 대신 사진적 특성을 회화 속에 좀 더 매끄럽게 적용시키는 방법을 모색한 시기다. 과도한 플래시를 통해 만들어진 사진은 "마치 무대배경처럼 평면화된 검은 배경 위에, 납작하고 선명하게 드러나는 인물들을, 배우를 배치하듯" 표현했으며, 이런 특징은 <월광욕>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굳이 노골적으로 액션샘플러를 통해 화면을 4등분하지 않더라도, 이 회화에서는 사진적 특징이 강하게 부각됐다. 회화의 껍질을 쓴 사진 말이다.  하지만 4분할을 포기한 대가로, <로모그라피> 시리즈에서 볼 수 있었던 시간의 연석적 구성은 사라지고, 대신 연작의 형태로 대체되었다. 아마 이때 작가는 시간성의 고민을 잠깐 차치해 두고, 회화에서 사진 일반의 특성을 활용하는 데에 몰두했던 것 같다. 한편, <사다리 02> 등에서 보여지는 미술관 풍경은 회화라는 매체에 대한 고민을 더욱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사다리 02>는 미술관에 추상회화를 걸고 있는 작업공의 스냅사진을 그린 작품이다. 작업공들은 모두  하나의 그림을 응시하고 있으며 그림만이 정면으로, 캔버스 밖의 관객을 독대한다. 마치 “내가 그림으로소이다”하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 작품이 사진을 바탕으로 그려졌다는 것을 상기한다면,  역전이 일어난다. 사진에 의해 박제된 회화랄까? 또 미술관이 전통적으로 역사화된 작품들을 보존 전시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런 혐의는 짙어진다.



<인벤토리>
 캔버스에 유채 130×185cm 2011  



박진아는 최근 원앤제이 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 <한 사람과 한 사람>에서 또 한 번 변화를 꾀했다. 근작에서는 사라졌던 화면 안의 ‘시간적 연속성'이 다시 돌아왔는데, 이것은 예전의 4등분 회화(로모그라피)와, 연작(스냅사진)의 형태가 합쳐진 종합적 성격을 띈다. 연속된 사진은 화면 안에서 더 이상 분석적으로 분할되지 않고, 화면 안에서 자연스럽게 섞인다. <창고에서02>를 보면, 여기서 등장인물들은 하나씩의 분신들을 동시적으로 가진다. 이 분신들은 분명 사진으로 분절된 다른 시간들의 브리꼴라주가 아니라 동시간적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사진에서 절대로 나타날 수 없는 초사진적 시간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시리즈에서 나타나는 시간성은 말하자면, 로모시리즈에서는 아직  성취되지 못했던, 사진적 시간의 회화적 변용이라고 할 수 있다. 로모시리즈에서는 회화가 사진적 시간의 표현을 차용하고 있었다면, 이 시리즈에 와서는 오히려 사진을 이용해 회화적 시간을 표현한다. 다시말해, 박진아의 근작은 사진으로부터 시간을 빼앗아 다시 회화로 귀속시킨다. <한 사람과 한 사람>전에 출품된 대부분의 작품들은 전시가 시작하기 전, 혹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 단계를 그리고 있다. 이것은 화가로서, 이제는 ’회화‘에 대해 무언가를 이야기 할 준비가 됐다는 것 아닐까?  



<남색소파>
 캔버스에 유채 150×210cm 2012



박진아 



작가 박진아는 1974년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런던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에서 석사를 받았다. 금호미술관, 성곡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광주비엔날레와 국내외 다수의 그룹 전에 참가하였으며 2010년에는 에르메스코리아미술상에 노미네이트 된 바 있다. 현재 몽인아트스페이스 레지던시에 입주 중이다.
온라인 구독 신청 후 전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Subscribe 로그인 Log in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