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Log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Log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Log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Log
Issue 185, Feb 2022

2022년 임인년 맞이 호랑이 그림Ⅰ

2021.12.29 - 2022.5.1 국립중앙박물관

Share this

Save this

Written by

편집부

Tags

<용호도(龍虎圖)> 

19세기 조선 소장품번호: 덕수 2300




‘검은 호랑이의 해’를 맞아 국립중앙박물관이 1962년 임인년 이후 60년 만에 <용호도>, <월하송림호족도>, <호작도> 등 호랑이가 등장하는 서화 18점을 선보인다. 과거 선조들이 묘사한 호랑이의 다양한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는 지금 현대인의 호랑이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보는 재미를 선사한다. 조선시기 제작된 <용호도>는 깊은 산 속에서 으르렁대는, 용맹스러우면서도 익살스러운 호랑이의 모습을 담고 있다. 옛사람들은 용과 호랑이가 좋은 기운을 불러오고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고 여겨 새해가 되면 함께 그려 문 밖에 붙여두곤 했다.




<용호도(龍虎圖)> 

19세기 조선 소장품번호: 덕수 2300




<산신도>에서는 붉은 옷을 입은 한 노인의 옆에 커다란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데, 호랑이의 눈자위는 새빨갛고 눈동자는 또렷하다. 영험한 호랑이를 옆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어렵지 않게 노인이 산신이라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호랑이의 묘사에서 뾰족한 이빨과 날선 발톱이 제외돼 호랑이가 산신의 힘에 복종한 상황이 표현되기도 했다. 한편 호랑이와 까치 그림은 기쁜 소식을 전해주고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고 여겨져 민간에서 유행했다. <까치와 호랑이>에서 볼 수 있듯, 민화 속 호랑이는 새빨간 입술과 뾰족한 이빨을 드러내고 있지만, 역시 익살스러운 표정으로 친근함을 자랑한다.




<월하송림호족도(月下松林虎族圖)> 

19세기 조선




<월하송림호족도>에서는 달빛 아래 솔숲 사이로 11마리의 호랑이가 등장한다. 새끼를 돌보는 어미 표범의 모습과 호랑이의 해학적인 표정은 관람객의 입가에 미소를 띠운다. 살펴볼 수 있듯, 예부터 호랑이는 그 영험함으로 벽사(闢邪, 나쁜 기운을 몰아냄)를 의미해왔다. 그러나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 익살스럽고 친근하게 묘사되어 왔다는 점에서, 옛 선조들이 호랑이를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예부터 전승된 호랑이의 기를 한껏 받아볼 수 있는 전시는 5월 1일까지 계속된다.  



· 문의 국립중앙박물관 02-2077-9000











               

온라인 구독 신청 후 전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Subscribe 로그인 Log in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