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Issue 188, May 2022

혼종의 감각을 잇는 조각 풍경

China

THE CLIMAX
Kim Byoungho Solo Exhibition
2022.5.21-2022.8.21 선양, K11 아트 스페이스

● 박지형 큐레이터 ● 이미지 작가 제공

[The Nineteen Gods] 2018 Gold mirror stainless steel, urethane coating on stainless steel, oriental black ink, water installation 225×47×53cm

Share this

Save this

Written by

박지형 큐레이터

Tags

김병호의 개인전 <절정(THE CLIMAX)>이 5월 21일부터 3개월간 중국 선양에 위치한 K11 아트 스페이스에서 열린다. K11은 홍콩을 비롯해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선양, 텐진, 우한 등 중국의 여러 주요 도시에 거점을 가진 복합문화 예술 공간으로, 이번 전시는 설립 1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일환으로 기획됐다. 전시는 작가의 오랜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동시에 그가 현 시점에서 고민하는 화두를 다양한 관람객과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병호의 작품은 그 모양이나 생김새가 화려하고 표면은 지나칠 만큼 매끈하거나 반짝인다. 이러한 외형적 특징은 그의 조각을 자칫 장식적 요소에 기댄 입체물로 오독할 위험을 내포한다. 그러나 실제로 그는 나 자신을 넘어 현대 인류를 지탱하는 삶의 양상을 찾아내고 이를 세심하게 가공하여 동시대 환경 전반의 감각을 종합하고자 한다. 말하자면 ‘문명’은 그가 오랜 시간 천착해온 탐구의 영역이다. 현대 사회가 자연으로부터 주어진 것을 인간이 후천적 지식과 기술로 가공하고 확장시켜온 결과라고 볼 때, 법과 제도, 경제 논리, 문자, 공동체의 구성원, 전통적 관습 등은 문화의 산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작가는 그보다 훨씬 더 미시적이고 근본적인 시각에서 이를 읽어내고자 한다. 평면이나 수평, 수직, 두께와 같은 개념을 예로 들 수 있다. 열거한 것들은 인류가 고안해낸 인공물이며 현실에서 완벽하게 실현될 수 없다. 그럼에도 세상의 모든 3차원적 공간은 이 모순적 전제가 가능하다는 믿음에서 출발하며, 작가는 상반되는 현상들의 이질적인 수용과 조합이 문명의 핵심이라고 파악한다. 그러므로 그의 언어는 충돌하는 조건들을 가시화하고, 그 불협화음이 생산하는 기이한 리듬을 자의적 의미의 아름다움으로 치환함으로써 동시대적 풍경을 그려내는데 목표가 있다.




<A Section of the Garden-19LB> 2017

Acrylic coating on aluminium 200×340×23cm




이제 본격적으로 지면을 통해서나마 전시의 동선을 따라 작품을 살펴보자. 전시장은 어둠과 빛이 교차하는 네 개의 장으로 구분되고, ‘정원(Garden)’으로부터 출발한다. 일반적으로 정원은 집의 입구나 특정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한다. 이것은 인간의 의지에 의해 선택되고 가공된 형식이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각 문화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2013년 이후부터 작가의 작업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단서이기도 한데, 그는 정원을 자연적인 것과 조작된 것이 뒤섞인 혼종으로 본다. 즉 주어진 환경이 인위적 계획과 침입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변화할 때 정원이라는 특수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가 가꾸어 놓은 정원은 작가만의 기하학적 논리를 따라 계획적으로 구축되었다. <Garden>은 잘게 쪼개진 선의 마디를 엮어 긴 직선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상승 혹은 하강하는 모습을 띠고, <Horizontal Garden>은 혹이 달린 기둥들이 군집을 이루며 공중에 떠 있는 모양새다. 동일한 규격의 유닛들이 반복되고 중첩되어 덩어리를 이룬다는 점에서, 이들은 한편으로 모두 현대 산업화의 메커니즘을 내재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정원은 작가에게 물리적 개입의 여지를 열어주는 포털이면서 자연과 사회라는 두 항이 접점을 만든다는 사실을 표상하는 함축적 지대다.


정원을 지나 등장하는 장면은 또 한 번 자연으로부터 추출한 인공물의 유비에 관한 것이다. 계절과 기후의 변화에 따라 생물은 소리 없이 태어나고, 성장하며, 죽음을 맞이한다. 이 순환은 소란스럽지 않으나 웅장하고 숭고한 것이며, 인간은 이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파편적으로만 감지할 뿐이다. 문명의 순환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작가는 역사가 공시적/통시적 인식의 영역을 초월해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 사이를 흐르고 번져가는 형국을 꽃의 수분과 씨앗이 퍼져가는 과정과 겹쳐본다.




<Anniversary about the Memories - 23>

2017 Powder coating on steel 225×170×170cm




전시의 두 번째 장인 ‘수집된 장면들(Collected Scenes)’에 설치된 <Radial Eruption>과 <Soft Crash>는 가느다란 선들이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작품이 주는 에너지의 진폭은 시각적 특성에 더해지는 청각적 효과로 극대화된다. 세심히 귀를 기울여야 들리는 조각의 불투명한 소리는 인류가 쉽게 자각하지 못하는 수많은 정보의 흐름과 이동을 닮았다. 수용자는 스스로 세상을 지각하는 시야를 어디까지 넓히는지에 따라 이 파장을 발견할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그는 주변에 편재한 비가시적인 실체들을 누구보다 먼저 감지하고 해독할 수 있는 기호들로 변환하는 역할에 충실하다.


세 번째 전시장을 들어서면 19개의 길쭉하고 뾰족한 형상의 뒷모습이 시야에 들어온다. 그들은 은은한 먹의 향을 풍기며 반짝이는 물 위에 조용히 떠 있다. 신체 크기를 훌쩍 넘는 <The Nineteen Gods>의 등을 돌아 앞으로 걸어가면 조각의 전면에서 응축되어 있던 금빛의 반사면들을 만나게 된다. 무결한 모습이어야 할 신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완전한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 도리어 한쪽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친 채 뾰족한 모서리를 가진 얼굴을 드러내 보인다. 군집을 이룬 개체들은 구체적인 이름으로 명명되기 이전의 잠재적 상태로 서있다. 우상 숭배는 형이상학적 교리에 따른 믿음에 따른 것일 수도, 구체적인 실재를 향한 신뢰나 헌신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이는 기억의 층위 속에서 시간이 흐름에도 그 존립의 의미가 퇴색되지 않는 원천적이고 무한한 것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한다. 어쩌면 작가에게 신격화된 존재는 그가 끊임없이 균열을 내고자 하는 세상의 구조적 인식 그 자체일지 모른다. 요컨대 작가가 삶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체득한 조형적 감각을 끊임없이 발현시키도록 하는 일상의 유무형의 조건 모두가 추앙의 대상이다. 그러므로 이름 없는 신들은 때로 건축물이나 도시가 되고, 수학적 도식이나 대량 생산된 산업물, 혹은 자연적인 현상을 지칭하게 되기도 한다.  




<Horizontal Garden>

2018 Brass 160×680×160cm




신들의 자리를 지나 마지막 방에 이르면 ‘기념비화(Monumentality)’에 관한 화두가 등장한다. 무엇인가를 기리고 기록하기 위해서는 의미를 담는 형식이 필요한데, 현실에서는 주로 상징적인 대용물을 통해 공통된 기억이 공유되고 확산된다. 어두운 방에 속한 조각들은 대부분 앞선 다른 작업들이 발산했던 빛을 완전히 흡수하거나 수렴한 듯 새까맣게 뒤덮인 표면을 가지고 있어 스스로를 드러내기보다는 감추려는 듯 보일지 모른다. 그런데 부수적인 미사여구를 내려놓는 방식은 역설적으로 대상의 본질적인 얼개를 더 또렷하게 마주하게끔 한다.


구멍이 뚫린 공백(void)처럼 느껴지는 검은 존재들은 가장 근원적인 형태를 가감 없이 드러내고 비물질/물질, 입체/평면, 음/양 사이의 위치를 점유하며 생경한 감각들을 일깨운다. 결국 작가는 이 자리를 빌어 현대 산업사회 속 원소들을 다수와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하학적 양태의 기념비로서 제시하고 있다. 전시의 마지막 광경은 곧 전시장 가장 처음의 풍경, 빛을 뿜어내던 태초의 것들과 수미상관을 이루며 양면적인 것을 포용하고 기묘한 균형을 끌어안는 작가 김병호만의 세계를 더욱 선명하게 한다.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절정/정점(Climax)’은 보통 사물이 가장 높은 지점에 다다랐음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긴장감을 암시하거나 측정 가능한 수치를 넘어서는 쾌의 순간을 떠올리게도 한다. 그가 가용하는 조형언어의 정점에서, 우리는 충돌과 이접의 연쇄 속에서도 결코 멈춤 없이 영위되는 현대 문명과 인간 사이의 보편의 관계를 또렷하게 재확인하게 될 것이다. 문명이 사고의 틀을 세우는 동력이라고 한다면, 현실의 미세한 입자들이 김병호라는 치밀한 힘의 필터를 거쳐 누군가의 생각에 울림을 만들어내는 찰나는 작은 문명의 탄생과 크게 다르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PA


글쓴이 박지형은 디스위켄드룸의 큐레이터로, 동시대 한국 현대미술의 개념적, 물리적 확장성을 고민하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만드는 일을 한다. 영국 코톨드 예술학교(Courtauld Institute of Art)에서 미술사학 석사를 졸업했으며, 이후 ‘광주비엔날레’ 코디네이터, 페리지갤러리 큐레이터,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하며 여러 전시를 기획했다.

온라인 구독 신청 후 전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Subscribe 로그인 Log in

More Articles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