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Art World

경계를 초월한 자들에게 보내는 애도

0원
Denmark

Haegue Yang: Double Soul
2022.3.5-2022.7.31 코펜하겐, 덴마크 국립미술관

● 정지윤 프랑스통신원 ● 이미지 Statens Museum for Kunst 제공

Installation view of [Haegue Yang: Double Soul] SMK National Gallery of Denmark 2022 © Haegue Yang / VISDA Photo: Jan Søndergaard
SHOPPING GUIDE

배송 안내

배송은 입금 확인 후 주말 공휴일 제외, 3~5 일 정도 소요됩니다. 제주도나 산간 벽지, 도서 지방은 별도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송비는 6만원 이상 무료배송, 6만원 이하일 경우 3,000원입니다.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주문된 상품 불량/파손 및 주문 내역과 다른 상품이 오배송 되었을 경우 교환 및 반품 비용은 당사 부담입니다.

- 시판이나 전화를 통한 교환 & 반품 승인 후 하자 부분에 대한 간단한 메모를 작성하여 택배를 이용하여 착불로 보내주세요.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반품 기간(7일 이내) 경과 이후 단순 변심에 한 교환 및 반품은 불가합니다.

- 고객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 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상실된 경우,

  고객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하여 상품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 포장을 훼손한 경우 교환 및 반품 불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 상담 혹은 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 교환/반품 배송비 유사항 ※
- 동봉이나 입금 확인이 안될 시 교환/반품이 지연됩니다. 반드시 주문하신 분 성함으로 입금해주시기 바랍니다.

- 반품 경우 배송비 미처리 시 예고 없이 차감 환불 될 수 있으며, 교환 경우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상품 반입 후 영업일 기준 3~4일 검수기간이 소요되며 검수가 종료된 상품은 순차적으로 환불이 진행 됩니다.

- 초기 결제된 방법으로만 환불이 가능하며, 본인 계좌가 아니면 환불은 불가합니다.(다른 명 계좌로 환불 불가)
- 포장 훼손, 사용 흔적이 있을 경우 기타 추가 비용 발생 및 재반송될 수 있습니다.


환 및 반품 주소

04554 서울시 중구 충무로 9 미르내빌딩 6 02-2274-9597 (내선1)

상품 정보
Maker Art in Post
Origin Made in Korea
정기결제
구매방법
배송주기

정기배송 할인 save

  • 결제 시 : 할인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Art World 수량증가 수량감소 a (  )
TOTAL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전쟁 기계는 유목민의 발명품이다.”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Pierre-Félix Guattari)는 1980년 공동으로 펴낸 『천 개의 고원(Mille Plateaux)』에서 기존의 고착된 질서와 시스템에서 탈주하여 다른 형태의 ‘배치’를 시도함으로써 끊임없이 대항하는 새로운 가치를 생성해내는 창조적 주체를 유목민에 빗대어 설명한 바 있다. 그들이 말한 이 노마디즘(nomadism)의 사유를 오늘날의 예술로 치환해 본다면, 아니 역으로 그들이 양혜규의 예술을 목도했다면, 현실과 상상, 인간과 기계, 원시와 문명, 물질과 비물질, 일상과 비일상, 시공간의 경계를 초월한 작가의 언캐니(uncanny)한 ‘중간 유형(The Intermediates)’의 피조물들을 기꺼이 전쟁 기계로 명명했을 법하다. 어떠한 범주에 속하거나 얽매이기를 철저히 거부하는 양혜규의 중간 유형은 상이한 것들을 충돌·대립시키며, 세상의 수많은 균열과 틈을 거리낌 없이 드러내고 사건화하는데 탁월하게 기능하기 때문이다.


어떤 의미로든, 양혜규는 진정한 유목민이다. 그는 이십 년이 훌쩍 넘는 오랜 시간 동안 서울과 베를린을 오가며 디아스포라(diaspora)의 삶을 직접 경험한 자이며, 더 나아가 시대와 대륙을 가로지르며 추방자, 이민자, 이방인, 소수 민족과 같은 경계인들의 삶의 궤적을 끈질기게 추적하고 (재)조명해왔다. 작곡가 윤이상부터 마르그리트 뒤라스(Marguerite Duras), 조지 오웰(George Orwell), 로맹 가리(Romain Gary)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세상 곳곳에 뿔뿔이 흩어져 있던 디아스포라 파편들을 모아 불안정하게 요동치는 그만의 특수한 지형을 구축한다.




<Sonic Intermediate-Tripodal Shapeshifter after Ferlov Mancoba>

2021 Courtesy SMK National Gallery of Denmark,  

gift from the New Carlsberg Foundation

© Haegue Yang / VISDA Photo: Anders Sune Berg




소수자를 향한 양혜규의 이 오래된 관심은 여전히 식지 않은 모양이다. 오히려 더 확장되고, 더 강력해졌으며, 누군가에게는 불편함을 안길 만큼 더 첨예해졌다. 현재 덴마크 국립미술관(Statens Museum for Kunst, 이하 SMK)에서 진행 중인 전시 <이중 영혼(Double Soul)>을 마주하며 드는 생각이다. 1990년대 작업한 초기작 ‘양혜규 아카이브 모음’, ‘래커 회화(Lacquer Paintings)’를 비롯해 짚과 현대의 일상적 오브제들을 조합한 ‘중간 유형들’, 작가의 시그니처 오브제인 방울과 블라인드, 빨래 건조대를 배열한 주요 대표작을 총망라한 5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덴마크에서 개최되는 그의 첫 개인전으로 현지 관람객들에게 작가의 방대한 작업 스펙트럼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무엇보다 우리의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단연 신작 <소리 나는 중간 유형 - 이중 영혼(Sonic Intermediates - Double Soul)>이다. 전시 타이틀과 동명의 부제가 붙은 것에서 유추할 수 있듯, 한 쌍을 이루는 이 듀오 조각 작품은 덴마크와 북극해를 무대로 펼쳐지는 양혜규의 새로운 대서사시를 이끌 주역들이다. 지금껏 다양한 층위의 디아스포라의 풍경을 그려온 작가가 이번에 소환한 것은 과연 누구의 영혼들일까.


양혜규는 신작과 더불어 이번 덴마크 전시를 준비하면서 두 명의 여성 예술가를 출발점으로 삼았다. 소냐 펠로브 만코바(Sonja Ferlov Mancoba, 1911-1984)와 피아 아르케(Pia Arke, 1958-2007)다. 먼저 만코바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최초의 흑인 현대예술가로 추앙받는 어니스트 만코바(Ernest Mancoba)의 부인이자, 본인 역시 조각가로서 일생의 대부분을 파리에서 보내며 이방인의 삶을 살았다. 서구와 비서구라는 이분법적 인식과 인종, 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팽배하게 지배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그는 어느 쪽으로도 선택하지(받지) 않(못하)고 중간지대에 머물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개척했다. 특히 ‘존재(being/creature)’ 자체에 대한 성찰이 담긴 그의 조각들은 아프리카 토속 문화와 원시주의 미술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서구 유럽의 미학적 틀을 뛰어넘은 선구적인 조각으로 평가받는다.




<Drunken Speech> 2007 © Haegue Yang

/ VISDA Photo: Jan Søndergaard




그린란드계 덴마크 작가인 아르케의 삶과 예술도 그리 녹록치 않았다. 북극의 원주민 중 하나인 이누이트족 어머니와 덴마크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본인을 잡종개(mongrel)라 불렀을 만큼 평생 자신의 이중적 정체성과 그 근원에 대해 강한 문제의식을 표출했던 인물이다. 그는 덴마크로 이주해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잃어버린 모국의 언어와 역사, 유년 시절의 기억을 찾는 작업에 집중했다. 그린란드의 지도 위에 자신의 가족사진과 식민 지배를 받으며 북극 원주민들이 소비하기 시작한 쌀과 밀가루, 설탕과 같은 식재료를 콜라주하여 피지배자의 관점을 투영한 지도 작업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아르케의 탈식민주의적 작업은 망각에 저항하는 한 개인의 자전적 기록인 동시에 식민지 근대화라는 명분 아래 그린란드가 겪은 탄압과 수탈, 강제 이주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는 점에서 큰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처럼 덴마크라는 한 국가에 완전히 동화·종속되는 것을 거부한 두 예술가의 치열했던 삶과 예술은 양혜규를 통해 계속된다. 그물망, 손잡이, 환풍기 등 공업용 오브제들에 뒤덮인 채 남아프리카 땅에서 자라나는 형형색색의 화려한 꽃들을 피우는 세 개의 다리, 이것은 여러 개의 다리가 달린 비대칭 형상을 띤 만코바의 조각을 양혜규식으로 재해석한 결과다. 그 우측 옆으로는 몸통과 팔다리 없이, 오직 다섯 개의 손을 가진 중간 유형이 서 있다. 아래쪽에 달린 세 개의 손으로 상체의 두 손을 지탱하고, 그 두 손으로 둥근 지구본을 감싸고 있는 이 형상이 기묘해 보이는 진짜 이유는 아마 ‘여섯 개의 손가락’, 육손에 있을 것이다. 양혜규는 덴마크 국립박물관 방문 당시, 북극 컬렉션에 전시된 물개 가죽으로 만들어진 여섯 손가락 장갑에 강하게 이끌렸다.




<Silo of Silence - Clicked Core>

2017 © Haegue Yang / VISDA

Photo: Anders Sune Berg




이 장갑은 과거, 카약을 타고 주로 바다에서 수렵 활동을 했던 이누이트족이 사용했던 것으로 장갑이 바닷물에 젖어도 반대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엄지손가락 부분이 두 개인 것이 특징이다. 육손은 기형이다. 태어날 때부터 비정상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작가는 그 속에서 이누이트족의 생활상과 고유한 풍습, 지혜를 보았다. 그가 육손을 정상과 비정상, 주류와 비주류 사이의 경계를 표상하는 토템으로 삼은 이유다. 육손이 품고 있는 세상은 어떠한가. 파란색과 은색 방울들이 촘촘히 박힌 지구본은 아르케를 향한 오마주이자, 양혜규의 디아스포라 세계관을 담은 사유의 지도다. 여기에는 두 개의 지도가 쓰였다. 오늘날 여섯 개로 나누어진 대륙이 과거 하나로 연결된 초대륙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한 알프레드 베게너(Alfred Wegener)의 대륙이동설 지도(continental drift)와 실제의 지형과 상상의 나라들이 뒤섞여 등장하는 관념의 지도, 천하도(天下圖)다. 지도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반영한다. 앞서 언급한 아르케의 지도가 그랬듯, 육지와 바다가 뒤바뀌고 지표성을 완전히 상실한 양혜규의 지구본은 주체와 객체가 반전된 새로운 관점의 세계관을 제시한다.


작가의 애도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만국 애도실(Multiple Mourning Room)>에서도 이어진다. 서로 다른 국적과 인종,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교차하는 국제공항의 다종교 기도실에서 모티프를 얻은 이 디지털 벽지 작업은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쇄편들이 시공을 초월한 듯 경계 없이 자유롭게 떠다니는 무중력 상태의 카오스 세계를 묘사한다. 상하가 도치된 히로시마 시내 속을 부유하는 오브제들 가운데 이누이트족의 육손 장갑과 외투, 나무로 만든 스노우 고글, 부적들이 눈에 띈다. 지금은 사라진, 과거의 전통으로 남겨진 이누이트족의 흔적들은 이제 만국 애도실에 영원히 박제되어 불멸의 생명력을 얻는다.




<The Intermediates> 2015-2017

© Haegue Yang / VISDA

Photo: Jan Søndergaard




북극 원주민의 유물을 비롯해 만코바와 아르케, 두 인물을 덴마크 ‘국립’미술관 안으로 끌어오기까지 작가는 쉽지 않은 과정들을 거쳐야 했다. 사실 덴마크 국가의 입장에서 그들은 아웃사이더이고, 소외된 타자였으며, 역사적 과오를 다시 환기시키는 불편한 존재들이다. 작가와 미술관 양쪽 모두에게 용기가 필요했을 일이다.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미술관 측은 <이중 영혼> 신작을 소장하는 것은 물론 이번 전시와 함께 생전에 크게 주목받지 못한 만코바와 아르케의 작품들도 소개하고 있다. 현지 관람객들의 반응 역시 뜨겁다. 진정한 애도란 이런 것 아닌가. 양혜규는 두 예술가에게 “절대로 타협하지 않고, 놀라울 정도의 순도를 가지고 작업한 사람들이다. 덴마크라는 땅에서 오래 기억되기를 바란다”며 깊은 경의를 표한 바 있다. 이 말을 작가 본인을 위해 다시 나열해야겠다. 양혜규는 결코 타협하지 않았고,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순도를 가지고 작업했다. 그의 애도가 주는 울림은 실로 크다.  PA



글쓴이 정지윤은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현대미술과 뉴미디어학을 전공, 「미디어 시대시각 예술의 해체미학」을 연구했으며, 현재 예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

WRITE LIST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