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Art World

기후 파업에 교섭하는 디자이너들의 협상 카드

0원
Netherlands

IT’S OUR F***ING BACKYARD
Designing Material Futures
2022.5.26-2022.9.4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

● 윤지수 네덜란드통신원 ● 이미지 Stedelijk Museum 제공

Yves Béhar & The Ocean Cleanup 'The Ocean Cleanup Glasses' 2021 Recycled plastic, metal Designed in California by Yves Béhar and made in Italy by Safilo
SHOPPING GUIDE

배송 안내

배송은 입금 확인 후 주말 공휴일 제외, 3~5 일 정도 소요됩니다. 제주도나 산간 벽지, 도서 지방은 별도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송비는 6만원 이상 무료배송, 6만원 이하일 경우 3,000원입니다.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주문된 상품 불량/파손 및 주문 내역과 다른 상품이 오배송 되었을 경우 교환 및 반품 비용은 당사 부담입니다.

- 시판이나 전화를 통한 교환 & 반품 승인 후 하자 부분에 대한 간단한 메모를 작성하여 택배를 이용하여 착불로 보내주세요.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반품 기간(7일 이내) 경과 이후 단순 변심에 한 교환 및 반품은 불가합니다.

- 고객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 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상실된 경우,

  고객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하여 상품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 포장을 훼손한 경우 교환 및 반품 불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 상담 혹은 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 교환/반품 배송비 유사항 ※
- 동봉이나 입금 확인이 안될 시 교환/반품이 지연됩니다. 반드시 주문하신 분 성함으로 입금해주시기 바랍니다.

- 반품 경우 배송비 미처리 시 예고 없이 차감 환불 될 수 있으며, 교환 경우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상품 반입 후 영업일 기준 3~4일 검수기간이 소요되며 검수가 종료된 상품은 순차적으로 환불이 진행 됩니다.

- 초기 결제된 방법으로만 환불이 가능하며, 본인 계좌가 아니면 환불은 불가합니다.(다른 명 계좌로 환불 불가)
- 포장 훼손, 사용 흔적이 있을 경우 기타 추가 비용 발생 및 재반송될 수 있습니다.


환 및 반품 주소

04554 서울시 중구 충무로 9 미르내빌딩 6 02-2274-9597 (내선1)

상품 정보
Maker Art in Post
Origin Made in Korea
정기결제
구매방법
배송주기

정기배송 할인 save

  • 결제 시 : 할인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Art World 수량증가 수량감소 a (  )
TOTAL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2018년 첫 지구 기후 파업(Climate Strike)은 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의 삶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인식을 반영했다. 이번 전시는 어떻게 창조적인 관행을 통해 디자이너가 많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소비자들이 그들이 하는 선택을 통해 환경보호를 위한 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기후변화는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는 우리의 뒷마당에서 일어나고 있다.”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Stedelijk Museum)은 ‘기후변화를 위한 디자인’이라는 큰 테마로 전시 <IT’S OUR F***ING BACKYARD Designing Material Futures>에서 디자이너와 회사들이 제작한 80개의 디자인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다양한 국적의 작가와 회사는 물론 우리나라 옻칠공예 디자인 작품을 제작한 양승빈과 윤석현 또한 전시에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기존과 달리 수십 년 전에 이용 및 사용됐던 디자인적 아이디어에서부터 현재 상품으로 판매되는 디자인 제품 그리고 디자인적 가능성을 실험한 작품들을 아우르며 포괄해 선보인다.




Belén <Shadecloth>

2021-2022 PLA textiles with lasercuts,

dyed with oxide red, rope 350×284cm

Photo: Iris Duvekot




전시는 총 5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Future Histories’는 서구의 식민지배와 19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라진 지역의 수공예를 모토로 한다. 디자이너들은 동시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수공예부터 아이디어에 착안한 디자인 작품을 제작했다. 각 국가, 혹은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는 작품들은 문화적 아름다움뿐 아니라 자연과 공생하는 아이디어 또한 담고 있다. 양승빈과 윤석현은 우리 전통 공예에서 활용되는 옻의 방수성, 내구성, 항균성,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의 특징을 이용했다. 양승빈은 종이에 옻을 발라서 실험적 형태의 도자기 모양 작품을, 윤석현은 도자기에 유약 대신 옻을 발라 재생 가능한 도자기 식기를 제작했으며, 그 밖에도 지역의 진흙을 이용해 제작한 파사드의 건축물 <Thabo Mbeki Presidential Library>(2000), 고대 건물 기술을 활용해 만든 <Earth Kitchen>(2017) 등이 전시됐다.




Space Available × Peggy Gou

<Peggy Chair> 2021 Chair made of recycled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coll Stedelijk Museum Amsterdam,

donation of Space Available, Bali, Indonesia, 2022




두 번째 ‘Less and More’는 어떻게 새로운 기술이 더 적은 재료와 화석연료를 사용한 제품을 만들 수 있는지 탐구한다. 일례로 3D 프린팅 기술이 어떠한 쓰레기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쟌 키타넨(Janne Kyttanen)의 <Lost Luggage>(2014)는 미래의 의복이 3D 프린팅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런가 하면 오드리 라지(Audrey Large)는 수공예로 만든 디지털 형태를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3D 프린트한 작품 <Metal Bowl #6>(2021)를 통해 전통 수공예 제작방식이 쓰레기를 최소한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시의 세 번째 파트인 ‘Use Reuse Repeat’은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산업 공정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들을 다시 제조해 우리의 생활을 도와줄 수 있는 더 나은 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슬럼 스튜디오(Slum studio)의 <Sel Kofiga>는 2018년 가나 중고 의류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원단을 재사용해 만든 의류제품이다. 가나에는 매주 수백만 t의 의류가 전 세계로부터 수입되는데, 이 의류의 유입은 가나인들이 필요한 의류를 훌쩍 넘어서는 양이기 때문에 필요 수량 외의 많은 옷이 태워지거나 땅에 묻힌다고 한다.




Audrey Large <MetaBowl #6> 2021

Recycled 3D printed plastic,

coll Stedelijk Museum Amsterdam

Photo: Alaa Abu Asad Nilufar Gallery-Far Edition




그는 서구 사회의 과도한 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취재하고 버려지는 옷가지들을 찾아 새로운 옷으로 재탄생시켰다. 디자인 스튜디오 스페이스 어베일러블(Space Available)과 페기 구(Peggy Gou)는 인도네시아 발리 근처 섬과 인근 바다, 땅 그리고 강에서 발견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EPR)을 이용해 의자 <Peggy Chair>(2020)를 만들었다. 제조 과정에서 풀, 나사 등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디자인은 어떠한 쓰레기도 만들지 않는다.


전시의 네 번째 파트인 ‘Experiments in Practice’는 디자이너들이 완제품을 만들어내기 전 거치는 리서치 과정과 실험 과정을 보여준다. 토마스 베일리(Thomas Vailly)는 향수의 증류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이용해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 시리즈(2012)를 제작했고, 클라우디 용스트라(Claudy Jongstra)는 15세기와 16세기에 발전된 브루고뉴 지역의 검은색 염색 방법과 직물 제조 방식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Installation view of

<It’s Our F***ing Backyard. Designing Material Futures>

Stedelijk Museum Amsterdam

Photo: Gert Jan van Rooij




마지막 파트인 ‘Awareness is bliss’는 우리가 어떻게 재료 및 제품과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식을 촉진한다. <Lena Library>(2014)는 옷을 빌려주는 도서관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프로젝트 창립자 레나(Lena)는 소비지향 주의에 대한 우리의 부정적 인식이 증대되길 기대한다. <Ecobirdy>(2018)는 버려진 장난감을 새로운 아이 의자로 재탄생시키며 아이들에게 지속 가능성에 대해 가르친다. 회사는 플라스틱 낭비에 대한 교훈을 책, 학교 프로그램 그리고 디자인을 통해 아이들에게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래픽 디자이너 로베르토 로센만(Roberto Rossenman)은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렸다. “디자인은 인간의 욕구와 의도를 구체화하기 위한 인지 과정이 사용되는 의도적인 인간 활동이다.” 이번 전시는 디자이너가 기후변화에 맞서려는 의도를 담은 디자인을 선보였다. 범지구적 문제인 기후변화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적 아이디어를 국가적 경계, 혹은 시간적 경계 없이 한 전시를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 하지만 디자인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의도가 구체화되고 완성된다는 점에서 전시가 제시한 친환경적 생활 태도, 혹은 디자인적 가치는 관람객의 실천으로부터 비로소 완성될 것이다.




Elisa van Joolen in collaboration

with Jan van Eyck Academie <EVJ bag #347>

2020 - ongoing Recycled plastic shopping bags

Courtesy of Elisa van Joolen




2018년 기후 파업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2만 2,000명이 고온 기후에 따라 열사병에 걸리는 일이 일어나는 한편, 캘리포니아에서는 산불로 인해 85명의 사람들이 사망했으며, 미국, 필리핀, 홍콩에서는 태풍이, 북극에서는 더 많은 양의 빙하가 녹기도 했다. 그리고 2019년에는 코로나19 발병으로 전 세계가 팬데믹에 의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경험했다. 기후변화의 해결을 위해 전 세계 정상들이 유엔기후변화 회의에 참여하며 지속적으로 그 방법을 모색하는 가운데 우리는 이에 역행하는 새로운 흐름을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됐다.


Web 3.0의 도래와 메타버스(Metaverse) 세계의 도입 그리고 NFT 산업의 활성화가 그것이다. 실제로 NFT는 구매하거나 판매할 때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방출하는데, 그 열풍이 가속화되는 만큼 NFT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기술적, 사회적 변화 한가운데에서 환경을 위한 의식적 선택을 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환경을 위한 선택을 더 이상 계속해서 미룰 수는 없다. 전시는 우리 개인의 의식적인 선택을 위해 환경 친화적인 다양한 아이디어와 제품을 제공했다. 이젠 우리가 이를 받아들이고 사용하고, 환경을 위한 가치를 실현할 때다.PA




Installation view of

<It’s Our F***ing Backyard. Designing Material Futures>

Stedelijk Museum Amsterdam

Photo: Gert Jan van Rooij




글쓴이 윤지수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미술이론을 전공했고, 네덜란드 로테드담 에라스무스대학교(Erasmus University Rotterdam)에서 미술, 문화 그리고 사회(Art culture and Society)를 전공했다. ‘게이트 키핑 시스템에 대한 NFT 마켓’을 석사 논문으로 연구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

WRITE LIST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