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현재 위치
  1. Exhibitions
  2. Art World
Issue 105, Jun 2015

인간의 조건, 불안 속 균형을 찾아

France

Bruce nauman
2015.3.14-2015.6.21 파리, 까르티에 현대미술재단

느림의 미학이란 말이 어느덧 유행이 되었다. 몇 해 전부터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오는 삶의 지침서들부터 광고, 영화, 강연에 이르기까지 느리게 사는 삶은 현대인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평소에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비로소 보이기 시작했다고 말하는 느림예찬자들의 미담은 과연 얼마나 많은 현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을까? 쉬는 건 고사하고, 전쟁 같은 매일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말하는 이야기들은 그저 달콤한 꿈처럼 들려올 뿐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느림’을 앞세운 최근 각 분야의 마케팅이 숨 가쁜 현대인의 일상과 우리사회에 대한 위로와 자기반성으로부터 비롯된 하나의 트렌드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 지금 우리가 서 있는 그 자리에서 한발자국 뒤로 물러나본다는 것, 지금의 삶의 속도를 조금 늦추어본다는 것은 한 개인에게 큰 용기를 요구할뿐더러, 우리가 용기 내어 느리게 살지라도, 우리사회는 흔쾌히 응원의 박수를 쳐주지 않는다. 결국 현대인의 삶이란, 자신이 속한 사회의 속도에 짜맞춰진 일상의 반복이다. 사회의 속도보다 내 삶의 속도가 느리다는 건 참으로 불안한 일이다. 사회의 속도는 곧 인간의 생존을 위한 속도이기 때문이다.
● 정지윤 프랑스통신원

'Untitled 1970/2009' Film stills ⓒ Bruce Nauman/ADAGP, Paris 2015

Share this

Save this

Written by

정지윤 프랑스통신원

Tags

인간의 삶과 생존의 조건이라는 근원적인 물음에 대해 오래 전부터 성찰해온 예술가가 있다다양한 매체의 실험을 통해 새로운 형태와 장르를 개척해온 현대미술의 거장브루스 나우먼이다. 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각양각색의 예술형태들이 대거 등장했던 그 중심에는 브루스 나우먼이 있었다비디오아트퍼포먼스설치·과정·개념예술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우리가 흔히 접하는 모든 예술장르와 범주의 초석을 다졌다 할 정도로나우먼의 파격적인 예술행보가 현대예술에 끼친 영향력은 실로 대단하다그런 그가 오랜만에 다시 프랑스 파리를 찾았다까르티에 재단에서 준비한 이번 나우먼의 전시는 거장에게 바치는 오마주가 담긴 단순한 회고전이 아니다

이제 75세의 나이로 백발이 다되었지만작가는 자신의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는 대신아직도 ‘현재진행 중인 자신의 예술세계를 관객들에게 선사한다나우먼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는 8-90년대에 제작된 설치와 비디오작품 두 점과 최근 그가 작업한 비디오와 음향설치작품들을 통해 관객은 여전히 창작 앞에 고뇌하는 한 노장작가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수많은 매체를 통해 수없이 많은 시도를 해온 탓에 나우먼의 광범위한 예술세계를 범주화시키기는 힘들지만그 대신 그의 드넓은 예술적 스펙트럼을 관통하는 한 가지 예술적 영감을 찾아볼 수 있다바로 인간의 삶그리고 사회에 대한 성찰과 반성이다형태와 지각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은 다르지만각각의 작품들은 인간의 삶의 조건이라는 근원적인 질문으로 수렴한다시대와 환경이 다르다 해도인간과 삶의 조건이란 문제는 누구나 살면서 자연스레 마주하게 된다그래서일까세월과 함께 깊어진 나우먼의 주름의 깊이만큼 그가 말하는 사람과 세상의 이야기는 우리의 내면을 더욱더 깊게 파고든다




View of the exhibition <Bruce Nauman> at Fondation 

Cartier pour l’artcontemporain 2015 Visuel ⓒ Luc Boegly


 



까르티에 재단을 등장하는 순간, 쉬지 않고 되풀이되는 한 남자의 음성이 들려온다. 약 2분 남짓한 분량의 음성파일을 설치한 나우먼의 신작, '어린이들을 위하여(For Children/Pour les enfants)'(2015)이다. 제목과 동일한 문구가 영어와 불어버전으로 교차하며 울려 퍼지는 이 음향설치작업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적막한 전시 홀 전체를 어느새 빽빽한 공기로 가득 메운다. 홀 가운데에는 어린아이가 쓴 듯한 가지런하지 못한 글씨체의 녹음문구만이 덩그러니 걸려있다. 굉장히 짧고 단순한 문구이지만, 규칙적으로 무한 반복되는 음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관객에게 이유 모를 심리적 압박감을 전달한다. 서서히 죄어오는 압박. 이것은 우리가 이미 경험했고 또 우리의 아이들이 답습해오고 있는 규율과 통제, 반복으로 행해지는 교육과 배움의 상징적 표현이기도 하다.  


 2분이란 짧은 시간 동안 우리 지각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다 준 이 ‘반복이라는 장치는 나우먼의 또 다른 작품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70, 2009년 각각 도쿄와 ‘베니스 비엔날레를 위해 제작된 작품, <무제(Untitled)>(1970/2009)는 여자 무용수 두 명이 시간의 흐름을 시각화한 퍼포먼스가 담긴 비디오 영상이다몸에 꼭 달라붙은 검은색 의상을 입은 두 무용수는 서로의 양손을 얽혀 잡고 누워한 시도 쉬지 않고 돌아가는 시계초침을 재현한다기하학적으로 나눠진 흰 매트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도는 무용수들의 부드럽고 유연한 움직임은 1초를 지나 곧 1분에 다다르고어느 순간 덧없이 흘러가는 시간이 된다커다란 원을 그리며 돌아가기를 반복하는 이 인간시계 퍼포먼스-비디오는 무한히 흘러가는 시간성을 통해 인간의 유한성을 상기시키는 동시에시간 속에 종속되어버린 공간의 파편인간의 나약함을 역설한다나우먼이 말하는 인간의 조건이 좀 더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작품들도 있다



<Untitled 1970/2009> Film stills 

ⓒ Bruce Nauman/ADAGP, Paris 2015




성악가 린드 에커트(Rinde Eckert)가 참여한 퍼포먼스-비디오작품 <인류사회학(Anthro/Socio), (Rinde Facing Camera)>(1991)은 나우먼이 인류 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인간과 사회의 상관관계가 잘 반영되어있다. 독창적인 설치구조를 통해 미디어아트의 수용방식을 넓혔다고 평가 받는 이 작품은 앞서 본 음향설치작업과 동일하게 간단한 세 가지 문구의 음성반복으로 구성된다. 총 3개의 거대한 벽면 스크린, 그 사이에 설치된 6개의 모니터 속에는 린드 에커트가 굵고 낮은 목소리로 세 문장을 교차, 반복하여 부른다. 돌림노래처럼 들려오는 ‘Feed me, Eat me, Antropology,’ ‘Help me, Hurt me, Sociology,’ ‘Feed me, Help me, Eat me, Hurt me’ 의 문구는 한 사회 속에서 인간이 살아남기 위한 상반된 가치의 조건들이 담겨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소리의 반복은 스크린의 이중설치구조에서 오는 중첩효과에 더해져 관객의 지각적 피로와 심리적 불안감을 배가시킨다. 마치 인간이 살기 위해 느끼는 불안과 공포, 좌절을 마주한 순간처럼 말이다.  

 

나우먼이 바라본 인간의 조건 속에는 모순이 있다그가 말했던 ‘서로가 먹고 먹히는 인류’, ‘서로가 돕고 해치는 사회라는 말은 두 개의 대립된 항이 존재할 때 비로소 가능하기 때문이다잘려진 사슴과 코요테스라소니의 목과 몸통이 서로 엉켜 매달려 목마대신 원판을 빙빙 돌고 있는 <회전목마(Carousel)> (1988)의 모습처럼 나우먼이 생각한 인간의 조건은 결코 이상적이지 않다오히려 냉정하고 참혹하기까지 하다시간은 인간의 삶을 잘게 쪼개어버렸고사회는 우리가 습득하고 지켜야만 하는 통제된 규율들을 주었다그리고 우리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받기도 한다안타깝지만이것이 익숙한 우리의 현실이다어찌 보면 삶이란 생존을 위한 타인과의 투쟁이기도 한 셈이다.




View of the exhibition Bruce Nauman Fondation 
Cartier pour l’artcontemporain 2015 Visuel ⓒ Luc Boegly



이 잔인한 투쟁과 경쟁을 우려한 사람들은 삶의 템포를 늦추어 보라고 하지만, 나 혼자 느려진 속도가 세상의 모든 혼란을 잠식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이제 인생의 황혼 문턱 앞에 선 작가가 그려낸 우리의 세상은 불안과 모순으로 가득 차있다. 하지만, 이 고통들은 인간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우리가 짊어져야 하는 대가이자, 인간의 타고난 숙명이다. 나우먼이 직접 참여한 비디오 '연필들어올리기(Pencil Lift)/(Mr. Rogers)'(2013) 영상 속에는 양쪽이 깎긴 몽당연필 세 자루가 뾰족한 서로의 심지를 맞댄 채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연필을 지탱하는 작가의 양손도그 모습을 바라보는 관객의 마음도 떨리긴 마찬가지이다긴장감이 맴도는 이 떨림 속에서 서로가 서로를 지탱하며 함께 들어 올려진 연필은 조화로운 균형을 탄생시킨다이것 역시 모순이지만균형이란 대립과 불화에서 비로소 얻어지는 결과이기도 하다대립된 존재 사이의 감도는 적당한 긴장감은 결코 우리를 추락하게 놔두지 않는다힘들고 조금은 불안할지라도함께 버티게 될 뿐이다피곤불안공포좌절의 고통을 겪고 있는 우리는 지금 균형을 찾아 버티는 중이다.   

 

 

글쓴이 정지윤은 프랑스 파리 8대학(Vincennes-Saint-Denis) 조형예술학과를 졸업하고동 대학원 현대예술과 뉴미디어아트학과에서 「기계시대의 해체미학」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현재 동 대학원 이미지예술과 현대미술 연구소에서 뉴미디어아트를 중심으로 예술과 기술의 상호관계분석에 관한 박사논문을 준비 중이다.

온라인 구독 신청 후 전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Subscribe 로그인 Log in



메모 입력
뉴스레터 신청 시, 퍼블릭아트의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뉴스레터 구독에 자동 동의됩니다.
Your E-mail Send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